매일, 삶에 힘이 되는 좋은글 받아가세요
🔔지금 좋은글 무료알림 받기

⭐️말에 대한 명언,격언,사자성어 모음 : 말 한마디의 힘,말조심 명언

⭐️말에 대한 명언,격언,사자성어 모음 : 말 한마디의 힘,말조심 명언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하루를 환하게 밝힐 수도 있고, 깊은 상처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말에는 힘이 있습니다. 말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고 조심스럽게 다룰 수 있다면, 더 따뜻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말 한마디의 무게'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명언, 격언, 사자성어를 모았습니다. 삶을 돌아보게 하고, 마음을 정돈하게 해주는 글귀들을 통해 나와 타인을 위한 더 나은 대화를 시작해보세요.

 

입의 힘에 대한 명언이 적힌 어두운 배경의 사진

 

✦ 구시화문(口是禍門) ✦


말이 있기에 사람은
짐승보다 낫다.

​그러나 말을 잘못하면
재앙(災殃)이 들어온다.

​그래서 구시화문(口是禍門)
이라는 말이 있다. 

입은 음식물(飮食物)이
들어가는 입구(入口)이다.

음식물(飮食物)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energy)를
확보(確保)할 수 있고
생명(生命)을 유지(維持)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飮食物)이
어디서 왔는가 를 따져보면
땅에서 나온 것들이다.

​인간(人間)이 먹는
음식물(飮食物)이란
땅의 지기(地氣)를 받고
자란 것들이다.

이렇게 보면 지기(地氣)가
들어가는 곳이다.

그러면 천기(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코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酸素)를 흡입(吸入)한다.

산소(酸素)는
바로 천기(天氣)가 아닌가.

​천기(天氣)를 흡입(吸入)하는 코와
지기(地氣)를 섭취(攝取)하는 입의
사이에 있는 부위(部位)가
바로 인중(人中)이다.

천기(天氣)와 지기(地氣)의
중간(中間)이기 때문이다. 

인중(人中) 위쪽으로는
구멍이 2개씩이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이다.

2라는 숫자는 동양(東洋)의
위상수학(位相數學)에서
음(陰)을 상징(象徵)한다. 

​2개 즉 음(陰)은 많이
쓰라는 것이다. 

냄새 잘 맡아보고,
열심(熱心)히 살펴보고,
잘 귀담아 들어야 하고, 

그런데 인중(人中)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씩이다. 

입도 1개, 배꼽도 1개,
항문(肛門)도1개, 요도(尿道)도1개,
산도(産道)'도 1개다. 

​1 이라는 숫자는
양(陽)을 상징(象徵)한다.
1개는 아껴 쓰고 조심(操心)해야
한다는 뜻이다. 

인중(人中)을 중심(中心)으로
위로는 음(陰)이
아래로는 양(陽)이
배치(配置)되어 있는
상황(狀況)이다. 

여기서 입의 위치(位置)를
다시 살펴 보면
인중(人中)아래로 양(陽)이
시작(始作)되는 지점(地點)이다. 

인체(人體)의 양(陽)은
입에서부터 비릇된다. 

달리 표현(表現)하면
인간 만사(人間 萬事)가
입에서부터 시작(始作)된다는
의미(意味)다.  

입에서 먹을 것과
복(福)도 들어 오지만
화(禍)도 들락거리는 문(門)이다.

고금(古今)의 역사(歷史)를 보면
말로 인해서 재앙(災殃)이
초래(招來)된 경우(境遇)가 많다.

마음 씀씀이는
창해수(滄海水)처럼 깊어야 하고
입은 곤륜산(崑崙山) 처럼
무거워야 한다라는 말이다. 

내가 두 귀로 들은 이야기라 해서
다 말할 것이 못되고,
내가 두 눈으로 본 일이라 해서
다 말할 것 또한 못 된다. 

들은 것을 들었다고 다 말해버리고
본 것을 보았다고 다 말해버리면
자신(自身)을 거칠게 만들고
나아가서는
궁지(窮地)에 빠지게 한다.

말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오지만
천사람의 귀로 들어간다.
질병(疾病)은 입을 쫓아들어가고
화근(禍根)은 입을 통해 나온다.

현명(賢明)한 사람은
남의 욕설(辱說)이나 비평(批評)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며
또 남의 단점(短點)을
보려고도 않으며
남의 잘못을 말하지도 않는다.

모든 화(禍)는 입으로부터 나온다.
그래서 입을 잘 지키라고 했다. 

맹렬(猛烈)한 불길이 집을
다 태워버리듯이
입을 조심(操心)하지 않으면
입이 불길이 되어
내 몸을 태우고 만다. 

입은 몸을 치는 도끼요
몸을 찌르는 칼날이다.

내 마음을 잘 다스려
마음의 문인 입을
잘 다스려야 한다. 

​입을 잘 다스림으로써
자연(自然) 마음이 다스려 진다. 

개가 짖는다고 해서
용하다고 할수없고
사람이 떠든다고 해서
영리(怜悧)하다고 볼수없고
앵무새가 아무리 말을 잘한다
하더라도 자기 소리는 한마디도
할 줄 모른다.

사람도 아무리 훌륭한 말을
잘한다 하더라도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예의(禮義)를 갖추지 못했다면,
앵무새와 그 무엇이 다르리요! 

​세 치의 혓바닥이 여섯 자의 몸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핑크빛 하트들이 빛나는 따뜻한 배경의 움직이는 이미지

 

✦ 남의 말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이유 ✦

 
무심코 친구에게 심한 말을 한 것 같아 고통스러운 적이 있었다. ㅤ 

“넌 너무 이기적이야”  

나는 기억을 헤집으며 끊임없이 대화를 꼽씹어 보았다. 그리고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벽에 붙은 파리가 돼 거리를 두고 당시의 상황을 다시 바라보았다. 다른 시각에서 보니 더욱 깊게, 좀 더 이성적으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실제 벌어졌던 일과 내 감정 사이의 연관성은 흐려졌고, 나 자신을 그리고 상대방을 덜 비판적인 눈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그리고 어쩌면 내가 걱정했던 것만큼 친구는 내 말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바탕으로 과거를 다시 생각해보면 감정에 사로잡힐 위험이 크다. 우리는 누구나 자기중심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기에 조명효과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조명효과란 실제 이상으로 타인이 내게 주목할 거라고 믿는 심리 현상이다. 하지만 사실 사람들은 남들보다 본인의 생각과 행동에 훨씬 더 관심을 둔다.

결과적으로, 나는 용기를 내어 친구에게 사과했다.

과거에는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지나치게 걱정했다. 나중에서야 그들이 나란 사람에 대해 조금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다고 나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막말을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타인의 생각이나 말 혹은 내 실수 여부를 떠나 내가 한 행동의 진정성에만 집중하려 노력하자. 우리가 날마다 나만의 ‘기준’ 을 갖고 행동한다면 내 마음의 균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내 마음의 균형을 찾아가는 연습 중

 

 

꽃잎과 장미 일러스트가 어우러진 말의 향기를 담은 이미지

 

✦ 한마디의 소중함과 향기로움 ✦

 
상처가 난 부분을 아프냐고
어루만져 준다는 것이
그의 상처를
덧나게 하는 것이 있답니다.  
 
때론 득이 되라고
이야기한 것이
그에게 실이 되는 것도 있답니다.  
 
마음이 앞서가는 것도
잘못이요.
너무 뒤쳐져 가는 것도
잘못이겠지요.
 
모두가 인간이기에
완벽함은 없는 것...  
 
삶에 있어서 좋은 점만
이야기하고  
 
상대를 위해 이야기한다 해도
좀 더 생각해보고
할 이야기들이 있나 봅니다.  
 
말 한마디의 소중함을
말 한마디의 향기로움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됩니다.  
 
때론 선의의 거짓말이란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선의의 거짓말도
해야 한다는 것을...  
 
-좋은사람 좋은생각 중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